https://www.acmicpc.net/problem/1956
Solution
사이클을 이루는 도로의 길이의 합이 최소가 되는 것을 찾기 위해서는 모든 정점으로 부터 모든 정점까지의 최단 거리를 구해야한다.
이 때, 가중치 c의 범위가 10,000 이하의 자연수 이므로 음의 가중치를 갖지 않는다. 또한, V가 400이하로 범위가 작다. 다익스트라, 플로이드-와샬 둘 다 가능하다.
나는 플로이드-와샬을 사용했다. 플로이드 와샬 알고리즘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트를 참고하자.
2023.01.18 - [알고리즘/개념] - [알고리즘] 플로이드-와샬, Floyd-Warshall
주어진 조건을 살펴보면, 정점은 최대 400개이고 하나의 간선의 최대 가중치는 10000이다.
만약 1번 정점에서 400번 정점까지 가기 위해 모든 정점을 다 거쳐야만 한다고 해도 400*10000 보다 적을 것이다.
이를 왕복한다고 해도 400*10000*2 는 int형 범위를 넘지 않는다.
이 문제에서 주의할 점은 1번 정점에서 1번 정점으로 가는 루프(loop) 간선이 존재하는 경우를 고려해줘야한다는 것이다. 이것 때문에 한참 해맸다...
코드
public class P1956 {
public static final int INF = 4000000;
static int[][] di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int V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E = Integer.parseInt(st.nextToken());
dist = new int[V + 1][V + 1];
for (int i = 1; i <= V; i++) {
for (int j = 1; j <= V; j++) {
dist[i][j] = INF;
}
}
for (int i = 0; i < E;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int a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c = Integer.parseInt(st.nextToken());
dist[a][b] = c;
}
for (int k = 1; k <= V; k++) {
for (int i = 1; i <= V; i++) {
if (i == k) continue;
for (int j = 1; j <= V; j++) {
if (i == j || k == j) continue;
dist[i][j] = Math.min(dist[i][k] + dist[k][j], dist[i][j]);
}
}
}
int answer = INF*2;
for (int i = 1; i <= V; i++) {
for (int j = 1; j <= V; j++) {
if (dist[i][j] == INF || dist[j][i] == INF) continue;
if (i == j) {
answer = Math.min(answer, dist[i][j]);
} else {
answer = Math.min(answer, dist[i][j] + dist[j][i]);
}
}
}
if (answer == INF*2) {
System.out.println(-1);
return;
}
System.out.println(answer);
}
}
'알고리즘 > 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6087 : 레이저 통신(JAVA), 다익스트라 (0) | 2023.01.25 |
---|---|
[백준] 2749 : 피보나치의 수 3 (JAVA) / 피보나치 수 구하는 방법, 재귀, 메모이제이션, 행렬) (0) | 2023.01.19 |
[백준] 1080 : 행렬 (JAVA) (0) | 2022.07.28 |
[백준] 1149 : RGB거리 (JAVA) (0) | 2022.07.28 |
[백준] 9663 : N-Queen (JAVA) (0) | 2022.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