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

240406

by 민죠미 2024. 4. 7.

알림센터 서비스 기술스택 조사

RDB 보단 NoSQL

  • TTL
    • 일정 시간이 지난 데이터에 대한 스키마 관리를 안 해도 되는 도메인
      • TTL을 기본적으로 지원해주는 NoSQL이 RDB보다 적합
  • 유연한 스키마 대응
    • Read/Write가 굉장히 빈번하게 일어나는 도메인 특성상 한 번에 최대한 적은 행이 추가되어야 함
    • 알림 도메인의 큰 틀은 고정되어있지만, 알림의 행위를 정의하는 부분은 구조의 변경이 잦기 때문에 유연한 스키마를 가질 수 있어야 함
      • Schema-less한 NoSQL이 RDB보다 적합합니다.
  • 성능
    • 알림 도메인에는 트랜잭션 관리가 필요 없습니다.
      • 트랜잭션 관리를 하지 않고 성능을 챙길 수 있는 NoSQL이 RDB보다 적합

Redis 보단 MongoDB

  • 각 알림 데이터는 상호 간 독립적임 즉, 중복되는 데이터가 없으며 이는 별도 정규화가 필요 없다는 것을 의미
  • 알림 관련 스펙은 형태가 변한다거나 예상치 못한 기능이 추가되는 등의 변화 가능성이 큼
    • 데이터 추가 및 변경이 자유로워야 하기 때문에 스키마리스(schemaless) 구조가 좋음
  • 풍부한 인덱스 기능
    • 여러개 인덱스 구성, 복합 인덱스, TTL 인덱스

 

참고

https://engineering.linecorp.com/ko/blog/LINE-integrated-notification-center-from-redis-to-mongodb

 

LINE 알림 센터의 메인 스토리지를 Redis에서 MongoDB로 전환하기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Social Integrations Platform Dev 팀에서 'LINE Integrated Notification Center'(LIN 혹은 알림 센터)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김진수입니다. LIN 프로젝트를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프로젝트 명에

engineering.linecorp.com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404  (2) 2024.04.06

댓글